홈플러스에서 최근 문제가 되는 단기 채권에 대한 생각

안녕하세요. 오늘은 경제 전문가처럼 돌아온 당땡이 입니다.

최근 홈플러스 관련해서 새롭게 제기된 문제가 있어요.

기업 회생 직전에 발행한 단기채권 문제인데요.

저 같이 일반 사람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를 한 번 해볼게요.

 


홈플러스가 가지고 있는 채권 판매잔액 6000억 중에

5400억 원이 개인 또는 일반 법인에 판매되었다고 해요.

예전에 LIG, 동양 사태처럼 불완전판매 의혹이 제기되며,

대형 형사소송 사태가 벌어질 우려를 낳고 있답니다.

홈플러스 단기채권 문제

 

16일 국회 정무회의 소속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과 금융 투자업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기업어음(CP),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 증권(ABSTB), 단기사채 등 단기채권 판매잔액은 5949억원 이라 해요.

이 중 증권사 일선 지점 등을 통해 개인 투자자에게 팔린 규모는 2075억원으로 676건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죠.

기술, 전자, 해운업 등을 영위하는 일반 법인에 판매된 규모는 3327억원 197건이에요.

홈플러스 단기채권 개인 판매

쉬운 설명

단기사채

단기 채권은 만기가 짧은, 주로 1년 이내에 상환되는 채권이에요.

쉽게 말해, 돈을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빌려주고 그 대가로 이자를 받는 투자 상품이죠.

보통 기업이나 정부가 운영 자금을 마련하거나 단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며,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어요

- 전자 단기사채 : 디지털 방식으로 발행되는 채권.

-기업어음(CP) : 신용도가 높은 기업이 발행하는 단기 채무 증서.

(단기 채권은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투자로 간주되지만, 발행자의 신용도가 중요해요. 신용도가 낮은 발행자의 경우 위험이 클 수 있답니다)

ABSTB(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

ABSTB는 "Asset Backed Short Term Bond"의 약자로, 자산을 담보로 발행되는 초단기 사채예요.

일반 단기사채와는 달리, 기업의 신용 대신 특정 자산을 기반으로 발행되며,

ABS(자산유동화증권)와 ABCP(자산유동화기업어음)와 유사하지만 만기가 더 짧죠.

SPC(특수 목적법인)를 통해 발행되는 경우가 많아요.

 


홈플러스는 기업 회생을 신청한 지난달에만 총 11차례 걸쳐

1807억 원의 단기 채권을 발행했다고 해요.

ABSTB 발행이 1517억 원 4회로 가장 많았고,

단기사채 160억 원(4회) CP 130억 원(3회) 등 순이라네요.

홈플러스는 지난달 25일 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한 후에도

820억 원 규모의 ABTSB를 발행했다는 의혹도 있어요.

개인 단기채권 판매

 

홈플러스 매장을 자산으로 편입한 리츠나 부동산 펀드에서도 대규모 개인 투자자 피해가 우려된다고 하는데요

우량 점포를 팔아 현금화하고 이를 다시 빌려 영업하는 '세일즈 앤 리스백' 전략을 써왔죠.

그런데, 홈플러스가 임대료를 미지급하기 시작하면서 투자자들 손실이 시작되었다고 하고

금융당국에 따르면 홈플러스 점포를 기초 자산으로 둔 리츠와 부동산 펀드 규모가 1조 원대 수준이라고 해요 ㄷㄷㄷ

MBK 김병주 회장은 홈플러스와 거래하는 소상공인들이 원활히 대금을 받을 수 있도록

자신의 재정을 투입하겠다고 했으나 구체적인 규모는 밝히진 않았다고 하네요.

홈플러스 1인 시위

 

논란의 초점인 ABSTB를 포함한 금융채권의 처리가 어떻게 이루어질지 와

개인 및 법인 투자자들의 피해 보상 여부가 주요 쟁점인 가운데

향후 김병주 회장이 추가적인 지원 방안을 발표할 가능성이 있으며,

법적 다툼 가능성도 있을 수 있을 것 같네요.

홈플러스 기자 간담회

 

공감과 댓글은 사랑이에요